근시 억제 안경, 호야 마이오스마트 근시 억제 안경렌즈 처방 사례(성장기 어린이 근시 관리 안경) > 임상 사례

근시 억제 안경, 호야 마이오스마트 근시 억제 안경렌즈 처방 사례(성장기 어린이 근시 관리 안경)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비전케어안경원 댓글 0건 조회 30회 작성일 25-09-22 18:22

본문

저희 한국비전케어 안경원에서는 25년 이상 축적된 정밀 검안 경험을 바탕으로

개인의 안축장 변화를 최대한 억제하는 근시 억제 안경렌즈를 처방하여 어린이들의 눈 건강을 지켜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성장기 어린이들의 근시 억제 안경 성공 사례를 통해 그 원리와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681_5876.png

최근 전세계적으로 근시(Myopia)의 급증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성장기 어린이의 경우 근시가 빠르게 진행되면 안축장이 길어지며

고도근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고도근시는 단순한 시력 저하를 넘어서 망막박리, 녹내장, 황반변성 등의

심각한 안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시력을 교정하는 안경만이 아니라

근시의 진행 자체를 억제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선택과 맞춤 처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698_6564.jpg

1. 근시 억제 안경렌즈, 어떤 원리로 작용할까요?

a. 중심부 명확한 시력 제공

근시 교정 도수를 중심에 정확하게 배치해 일상생활에 불편함 없는 시력 확보.

b. 주변부 망막 디포커스 관리 기술

눈의 성장 억제 호르몬 발생을 유도하는 자극을

망막 주변부에 전달하여 안축장 성장을 억제하여 근시 진행을 억제하도록 합니다.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723_1917.jpg
*근시 억제 관리 DISM ZONE 촬영 사진*

2. 근시 억제 안경 사용 후 효과적인 사례

사례 A. 초등학교 4학년 남자 어린이의 진행되던 근시가

근시 억제 안경으로 안정화된 사례: 나이 만 10세 (초등 4학년)

자녀의 근시 진행을 약간 늦게 발견하게 되어 안과에 가서 드림 렌즈에 대해 먼저 상담 받음

가족 중에는 어머니가 -2.00D 안경 착용 중

드림 렌즈 착용을 힘들어하여 고민하던 중에

근시 억제 안경렌즈를 알게 되어 전문 안경원을 찾아서 방문하심

*근시 억제 교정 방법

DIMS 구조의 근시 억제 안경 렌즈 처방(호야 마이오스마트 안경렌즈 맞춤 교정 도수 적용)

착용 후 6개월 마다 추적 관리하기로 함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767_3533.jpg

*경과 및 결과

a. 24년 8월 첫 시력검사

나안 시력 0.4 (우), 0.4 (좌)

24년 8월 첫 안경 처방

R: -1.50

L: -1.25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779_809.jpg

b. 25년 1월 정기 검사

(근시 억제 안경렌즈로 교정하고 6개월 사용후 검사 결과)

근시 억제 안경렌즈로 교정 후 6개월 뒤 방문시 근시 변화가 전혀 없었습니다.

운동할 때는 물론 학교에서 수업중에도 선명하게

잘 보여 불편함없이 잘 사용중이라고 합니다.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797_0053.jpg

c. 25년 6월 시력 검사

(근시 억제 안경렌즈로 교정하고 11개월 사용후 검사 결과)

25년 6월 두번째 안경 처방

R: -1.75

L: -1.50

축구 운동하면서 안경렌즈에 스크레치가 심하게 발생하여

검사일보다 1개월 빨리 안경 교체를 위해 검사 방문

거의 1년 사용하고 양안 모두 -0.25 근시 진행함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812_3777.jpg

d. 근시 진행 분석

이번 남자 어린이의 경우 근시가 처음 시작되는 중이었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올라가면서 키가 7CM 이상 커지면서

근시진행도 같이 빨리지는 시기임에도

근시 진행 폭이 1년 동안 단 0.25D만 증가하여

근시 진행 속도가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

어린이의 근시 억제 안경 적응도 좋았고

부모님의 적극적인 관리(정기적인 안경 피팅 방문, 공부시 책 보는 거리 유지, 축구 등 실외 활동 증가)

등도 병행된 것이 성공 요인 중 하나였습니다.

근시 진행 속도가 아주 늦어짐을 확인하시고

부모님과 어린이 모두 아주 만족하셨습니다.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826_0065.jpg
*근시 억제 관리 DISM ZONE 촬영 사진

사례 B. 초등학교 3학년 여자 어린이의 근시 진행 속도 낮아짐 사례

나이 만 8세 (초등학교 2학년) 첫 방문

첫 방문시 시력 0.4 좌우 동일

안경 착용 시작이 너무 이르고 어머니 고도근시 (-8.75D)라는 가족력 때문에

근시 진행이 빠를까봐 더 걱정이 많다고 합니다.

근시 억제 안경 전문 안경원으로 지인에게 추천 받아서 분당에서 방문해주셨습니다.

*근시 억제 교정 방법

DIMS 구조의 근시 억제 안경렌즈 처방 (맞춤 교정 도수 적용)

착용 후 6개월 마다 추적 관리하기로 함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846_6907.jpg

*경과 및 결과

a. 24년 3월 첫 시력검사

첫 방문시 시력 0.4 (우), 0.4 (좌)

24년 3월 첫 안경 처방

R: -1.50 -0.25 * 30

L: -1.50 -0.25 * 165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863_5064.jpg

b. 24년 9월 정기 검사

(근시 억제 안경렌즈로 교정하고 6개월 사용후 검사 결과

R: -1.50 -0.50 * 30

L: -1.50 -0.50 * 165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879_4978.jpg

c. 25년 3월 시력 검사

(근시 억제 안경렌즈로 교정하고 1년 사용후 검사 결과)

25년 3월 두번째 안경 처방

R: -2.00 -0.75 *15

L: -1.75 -1.00 * 170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895_6343.jpg

d.근시 진행 분석

이번 어린이 사례는 가족력에 의한 고도근시 진행 가능성이 높아

정밀한 검사 및 정기적인 추적 관리가 필요했습니다.

차분한 여자 어린이라서 안경 착용 습관이 매우 좋았고

흘리내림을 최소화하는 토마토 안경테를 착용해서

근시 억제 안경렌즈 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습니다.

근시 억제 안경을 착용하고 6개월 뒤에 정기 검사하러 왔을 때

근시는 억제가 잘 되고 있었고 원인 모를 난시만 -0.25 진행되어

교정 시력은 0.9 이상 잘 유지 되었습니다.

그래서 안경렌즈 교체 없이 6개월 더 사용했습니다.

첫 안경을 빠른 적응 후 안정적으로 착용했고,

정기적인 시력 검사를 통해 최소한의 근시 진행으로 근시 억제 안경 효과를 톡톡히 봤습니다.

일년에 6~7cm 이상 키가 크는 빠른 성장기에

일반 안경 착용시에 비해 근시 억제 효과를

성공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부모님께서 특히 만족하셨습니다.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913_4438.png

근시는 단순한 시력 저하로 끝나지 않습니다.

성장기 시절 근시 관리의 성패는 평생의 시력 질을 결정짓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조기에 정밀한 시력 검사와 검증된 근시 억제 렌즈의 맞춤 처방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저희 안경원은 아이의 미래 시력을 지키기 위해

성장기 아동의 습관과 환경까지 고려한

근시 억제 안경 렌즈 설계 추천 및 맞춤 피팅과

1:1 맞춤형 추적 관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눈 건강의 관리자 역할을 자부합니다.

자녀의 근시 진행이 시작 되었다면

지금부터 한국비전케어 안경원에서 근시 억제에 대해 차별화 관리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차별화된 진짜 시력검사를 받아보는 곳~

한국비전케어 안경원입니다!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963_0434.jpg

bcd8cb4894d2b8382a02b0c38accf332_1758532930_6257.p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